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증여세에 대해 포스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난 1부에 이어 2부를 이어가겠습니다. 1부에서는 증여세를. .공제 받을 수 있는 증여금액 공제한도는 10년간 동일인에게 받은 증여. 재산을 합산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며, 이 10년의 공제 금액 한도는 개인이 아니라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제금액한도를 적용한다는 것에 대해 설명 드렸었습니다. 다시한번 정리 하자면 .증여세 공제금액한도를 적용 받는 그룹은 ①직계존속과 ②기타친족 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공제 금액한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위의 표 대로라면 10년 안에서 아버지가 3천만원을 증여해. 주시고 2년뒤에 할아버지가 2천만원을 .증여해 주신다면 두 금액이 더해져서 5천만원을 공제 받을 수 있는 한도를 다 사용한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10년이 합산되어 세금이 부과되는 증여세와 10년이 합산되는 시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증여세는 10년이 합산되어 증여세가 계산되는 것도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지만 누가 .증여를 해 주었는지에 따라 .그룹별로 합산하여 증여공제가 적용된다는 사실을 매우 중요하게 기억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와 같은 증여세 그룹별 합산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증여는 누구에게 증여를. 받는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면제 한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위의 표만 보았을 때는 증여의 면제한도가 비교적 간단하고 심플한 구조로 보이지만 증여는 그룹별로 합산이 되기에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과의 관계가 무척 중요하며, 수증자(증여를 받는 사람)입장에서 누가 먼저 주었는지에 따라 부..
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오늘도 증여세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는데요.. 10년 기한이 한도라는 증여세의 합산은 언제부터가 합산되는시점일지 등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살아있는 증여자에게 면제 받을 수 있는 증여재산에 대한 세율은 수증자(증여받는 사람)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면제한도가 적용됩니다. 또한 증여세는 초과 누진세율 구조인데요.. 증여재산 공제금액을 초과하는 금액부터 세금이 부과되는 증여세는 증여받은 재산이 1억원 이하일 경우 10%, 1억원 이상 5억원이하는 20%, 5억이상 10억원이하는 30%, 10억이상 30억원이하는 40%의 세율이 적용되며 30억원이상부터는 5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재산을 증여받은 지 10년이 지난 경우라면 면제 받을 수 있는 한도는 다시 처음과..
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상속세를 절세 하는 방법으로 배우자상속공제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가족간에 잘 계획을 세우고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진다면 배우자상속공제를 통해 자녀들이 납부하게 될 상속세가 0원이 될수도 있는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물론 남겨진 한 부모님꼐는 자녀들이 더욱 극진히 모시며 잘해드려야. 한다는 점도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점이겠지만요~ 오늘은 고인이 남긴 상속재산을 어떻게 정확히 확인하고 상속세 신고 준비를 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유산취득형 과세방식인 증여세와 유산과세형 과세방식인 상속세 살아있는 사람의 재산을 증여받을 때 납부하는 증여세는 수증자 본인이 받은 재산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되는 유산취득형 과세방식을 따르지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