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세금에 대해 공부해 보고 싶어 며칠간 상속세와 증여세에 관한 포스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망인의. 사망이후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 납부하는 상속세 중 배우자상속공제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배우자 상속공제 고인의. 사망당시 살아있는 .배우자가 어떤 방법으로 .상속을 받는가애 따라 당장 자녀들이 부과하게 될 상속세와 또 향후 배우자분이 사망하게 되었을 때 또다시 자녀들이 납부 해야할 상속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에 현명하게 계획을 세우고 상속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살아있는 사람이 재산을 넘겨주는 증여는 상속에 비해 .공제 한도가 작긴 하지만 10년 단위로 증여할 수 있어 10년이 지나면 또 다시 증여를 하고 증여세를 .공제 뱓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상황에 따라..
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상속세와 증여세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살펴 보았는데요.. 오늘도 이어서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 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부모님이나 기타 친족에게 물려 받는 재산에 대해서는 몇 가지 종류의 부과되는 세금이 .있습니다. 바로 양도세, 증여세, 상속세가 그에 해당 하는데요.. 양도세의 경우. 양도일이 속한 달로부터 2개월까지 신고를 마쳐야하며, 증여세는 증여일이 해당한 날로부터 3개월.. 그리고 상속세는 사망일이 속한 달로부터 6개월까지 신고납부를 마쳐야 합니다. 아무래도 사랑하는 부모님이나 친족이 떠난 슬픈 마음을 추스르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에... 재산을 물려주는 사람이 생존한 상태에서 물려주는 증여세에 비해 사망한 ..
안녕하세요. 머니플라워입니다. 일반적으로 배우자나 자녀들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상속세를 낮추기 위해 증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증여와 상속의 개념.. 그리고 증여세와 상속세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차이점을 알기 전에 먼저 용어부터 살펴 보아요.~ ①상속인:상속을 받을.사람 ②피상속인:재산을 물려줄 사망한 자 ③증여자:재산을 증여해 줄 살아있는 사람 ④수증자:증여를 받을. 사람 상속세와 증여세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공톰점 1.대가없이 무상으로 이전받은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기에 주는 것에 대한 세금이 아닙니다. 예외의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속자(상속세)와 수증자(증여세)가 내는 새금이며 받는 것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