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년 5월이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세금 시즌, 바로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입니다. 특히 프리랜서, 1인 사업자, 배당이나 이자소득이 있는 분들은 매년 이 시기를 긴장하며 맞이하곤 하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나는 해당되는 건가?",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지?"라는 질문을 반복합니다.
- 종합소득세.. 누가 신고 대상일까?
-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마쳤는데 종합소득세 신고까지 해야 할까?
- 프리랜서와 3.3% 원천징수자도 종소세 신고 대상!!
- 사업자 등록을 했던 폐업자도 꼭 확인하세요!!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도 주의!!
- 종소세 신고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와 기간, 그리고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사항들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원래 5월 한 달 동안이지만 2025년도에는 5월의 마지막 날인 31일이 토요일이기에 올해는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신고를 마치시면 됩니다.
종합소득세.. 누가 신고 대상일까?
종합소득세는 다양한 소득원이 있는 사람이 신고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총 6가지의 소득 유형이 있습니다.
①이자소득
②배당소득
③사업소득
④근로소득
⑤연금소득
⑥기타 소득
위의 소득들 중에서 지난해 1년 동안 두 가지 이상의 소득원이 있었다면 대부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에 해당이 되는데요.. 예를 들어, 직장인의 경우 연금 소득이나 부업으로 얻은 사업소득이 있을 경우 신고 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마쳤는데 종합소득세 신고까지 해야 할까?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두 군데 이상의 직장에서 급여를 받았거나, 근로 외에 프리랜서 수입이나 자문료 등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라면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는데요..
프리랜서와 3.3% 원천징수자도 종소세 신고 대상!!
작가, 학원강사, 디자이너, 연예인, 트레이너, 배달 라이더 등 3.3% 원천징수 대상자도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들이 벌어들인 소득은 사업자 번호가 없어도 ‘사업소득’으로 분류가 되며, 이미 납부한 3.3%는 선납 세금일 뿐, 실제 납부할 세액은 종합소득세 신고 후에 정산을 통해 확정이 되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자 등록을 했던 폐업자도 꼭 확인하세요!!
개인 사업자는 간이과세자든 일반과세자든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데요.. 간이과세자는 부가세상 혜택이 있을 뿐, 소득세 측면에서는 동일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심지어 2024년 연중에 폐업한 경우라도 폐업 전 수익이 존재했다면 2025년 5월까지 반드시 신고를 마치셔야 합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도 주의!!
이자나 배당소득이 연간 2천만 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는데요.. 근로 또는 사업소득과 합산이 되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이 경우 5월 말까지 별도 신고가 필요합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의 경우 국내 주식 매매 차익은 대부분 과세가 되지 않지만 해외 주식 매매 차익의 경우 양도소득세로 과세가 되며 종합소득세와는 별도로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기타 소득은 얼마부터 신고를 해야 할까?
강연료, 기고료, 자문료 등 기타 소득이 발생한 경우, 필요경비를 공제한 후 3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데요.. 단 기타 소득인지 사업소득인지는 원천징수 시점에서 결정된 바에 따라 달라지기에 반드시 국세청에서 보내준 안내문 또는 직접 홈택스에 접속해서 본인이 벌어들인 소득 유형을 확인해 보야야 합니다.
국세청의 알림을 못 받은 경우..
종합소득세 대상자라면 국세청에서 카카오 알림톡, 문자, 우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라고 안내를 해 줍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세청의 알림을 받지 못했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종소세 신고 대상자의 휴대폰 번호가 변경되어 아직 국세청에서 정보 변경 처리가 되지 않았거나 주소지 이전으로 인해 국세청의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는 국세청의 알림이 신고 대상자에게 전달이 되었지만 이를 신고 대상이신 분이 잘 이해하지를 못해 확인하지 않고 지나친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종소세 신고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하지만 이유가 어찌 되었든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안에 신고를 하지 않게 되면 가산세가 추가되기 때문에 반드시 신고를 놓치지 않게 신고 대상자가 주의를 하셔야 하는데요.. 때문에 본인 스스로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본인이 신고대상인지 직접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종소세 신고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에서 본인이 신고대상인지 여부와 소득 유형까지도 바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는 방법들
①온라인 홈택스 이용 (PC)
②손택스 앱 이용 (모바일)
③관할 세무서 방문 (오프라인)
④세무사나 회계사에게 위임
본인이 직접 처리하기 어렵다면 전문가 분에게 맡기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본인에게 잘 멎는 방법으로 5월 안에 신고를 잘 마치시기 바랍니다.
내 집 마련할 때 단독명의 vs 부부 공동명의 절세에 유리한 선택은?
집을 사려면 엄청난 자금이 필요할 텐데요.. 때문에 집을 살 때만큼은.. 또는 언제쯤 내 집 마련을 할 것이라는 뚜렷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앞으로 집 값이 오를 것인지 내릴 것인지와 입지, 학
ivoryflower2023.com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린 절세 효과가 큰 내 집마련 방법은 단독명의일까? 부부공동명의일까? 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달라진 부동산 감정 평가 기준과 세금 폭탄 주의할 사항 (0) | 2025.05.05 |
---|---|
직원만큼 중요한 세무사무실, 피해야 할 위험한 유형 5가지 (0) | 2025.05.02 |
내 집 마련할 때 단독명의 vs 부부 공동명의 절세에 유리한 선택은? (0) | 2025.04.30 |
가족 간 목돈 이체, 증여로 오해받지 않으려면 이렇게 하세요. (0) | 2025.04.29 |
부동산 거래 시 등기부등본과 토지대장의 정보가 다른 경우 (0) | 2025.04.29 |